공연예술학과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일반대학원 공연예술학과에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해
창고적이고 교육자적 자질을 겸비하고 있는
예술인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학과소개

01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라 할 만큼 예술의 영역, 특히나 공연예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라 하겠다. 특히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화와 정보화의 추세에 상응하는 고급 예술 인력의 양성과 교육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고 이들 고급 인력은 예술적 창의성, 현장에서의 실용성 그리고 동시대적인 국제성을 습득해야 하는 소명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본 학과는 실기와 이론이 병행된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경험적인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고 연극, 방송 드라마, 모델, 무대기술, 무대패션, 광고, 디지털 융합 기술, 교육, 비평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예술인 양성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교육목적

02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해 창조적이고 교육자적 자질을 겸비하고 있는 연기, 무대기술, 모델, 무대패션, 디지털 융합 기술, 교육, 비평 분야의 예술인 배출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체계적이고 경험적인 실기 교육과 국제적인 이론 교육을 통한 세계화, 정보화에 상응하는 종합 예술인을 양성한다.
둘째
예술현장에서와 동일한 교육을 통해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종합 예술인을 배출한다.
셋째
이론뿐만 아니라 실기교육을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통합적인 종합 예술인을 육성한다.

학과전임교수

03
학과전임교수표
성명 직급 학위 전공 연구분야
박은정 부교수 이학박사 무대패션 무대의상, 패션디자인
김용준 부교수 연극학 석사 연극 연기 연극연출, 연기, 제작실기
백경희 조교수 공연예술학 석사 공연예술 연기, 신체훈련, 무대동작
주지희 부교수 연극학 석사 연극 연출 연극이론, 연극연출, 제작실기
김명남 부교수 연극학 석사 연극학 무대기술, 조명
임선희 조교수 MFA 석사 연극교육, 연출 연기교육, 연출, 제작실기
노은영 조교수 이학박사 무대패션 무대의상, 패션디자인
김국희 조교수 이학박사 무대패션 무대의상, 패션디자인
김태연 조교수 패션예술학 석사 패션예술, 모델 모델, 패션스타일링
강신 부교수 연극영화교육학 석사 연극영화교육, 문화예술경영 모델경영, 문화예술경영
조영아 조교수 이학박사 패션디자인 무대의상, 패션디자인
이승복 조교수 연극영화교육학 석사 연기, 연출 연극이론, 연극연출, 제작실기
이진석 조교수 무대디자인 MFA 석사 무대디자인 무대디자인, 무대기술

분야별 선수과목

04
분야별 선수과목
분야 과목
분야별선수과목 연기분야 1. 연극개론 7. 기초연기
2. 연극사 8. 희곡개론
3. 연기실습1,2,3,4 9. 화술론
4. 연극제작실기1,2,3,4 10. 발성과 화술 1,2
5. 신체훈련1,2 11. 연출의 실제
6. 장면연구실습 1,2 중 3과목을 선택한다.
모델연기분야 1. 모델학개론 8. 기초연기1,2
2. 워킹기초 9. 중급연기1,2
3. 워킹테크닉 10. 화술1,2
4. 퍼포먼스워킹 11. 작품제작실습1,2,3,4
5. 포토포즈 12. 워크샵1,2
6. 표정연출테크닉 13. 통합공연예술프로젝트1,2,3,4
7. 이미지메이킹,1,2 중 3과목을 선택한다.
무대예술분야 1. 세계 연극사 8. 무대장치제작 1,2
2. 공간스케치 9. 무대작화 1,2
3. 공연제작실습 1,2,3,4 10. 극장일반상식
4. 무대디자인 1,2,3,4 11. 프로덕션실습 1,2,3,4
5. 조명디자인 1,2,3,4 12. 컴퓨터응용디자인 1,2
6. 음향디자인 1,2,3,4 중 3과목을 선택한다
7. 무대기계기초
연출분야 1. 세계 연극사 8. 뮤지컬워크숍 1,2,3,4
2. 연출실습 1,2,3 9. 창작극쇼케이스 1,2
3. 연기실습 1,2,3,4 10. 통합공연프로젝트
응용캡스톤디자인
4. 연극제작 1,2,3,4
5. 극작 11. 통합공연프로젝트
심화캡스톤디자인
6. 무대연출 1,2
7. 연출론 1,2 중 3과목을 선택한다.

교과과정

05
구분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과목명 학점 이론/실기 비고
필수 PA10001 석사논문연구 Rearch for the Master's Degree P 이론 공통
공통 PA11001 실험영화연구 Seminar in Experimental Film 3 이론 공통분야
PA11002 고전영화이론연구 Studies in Classical Film Theory 3 이론
PA11003 현대영화이론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Film Theory 3 이론
PA11004 공연예술프로덕션 I Perfroming Arts Production I 3 실기
PA11005 공연예술프로덕션 II Perfroming Arts Production II 3 실기
PA11006 공연예술프로덕션 III Perfroming Arts Production III 3 실기
PA11007 공연예술프로덕션 IV Perfroming Arts Production IV 3 실기
PA11008 연구방법론 Methodology Research 3 이론
PA11010 XR실감기술 Realistic media technology for Extended Reality 3 실기
PA11011 융합콘텐츠프로젝트 Convergence Content R&D 3 실기
PA11101 연출법연구 Studies in Directing Method 3 이론 연기분야
PA11102 서양연극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Western Theatre 3 이론
PA11103 현대연극연구 Studies in Modern Theatre 3 이론
PA11104 연극이론 Theory of Theatre 3 이론
PA11105 교육 연극 Theatre for Education 3 이론
PA11106 연출가연구 Studies in Directors 3 이론
PA11107 연기방법론 연구 Studies in Acting Style and Method 3 이론
PA11108 한국연극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Theatre 3 이론
PA11109 작가연구 Studies in Playwrighters 3 이론
PA11110 연극비평 Theatre Criticism 3 이론
PA11111 스타니슬라프스키연구 Studies in Stanislavski 3 이론
PA11112 연극제작 Play Production 3 실기
PA11113 셰익스피어연구 Studies in Shakespeare 3 이론
PA11114 무대 기술론 Stage Technology 3 이론
PA11201 공연사연구 History of Production 3 이론 무대예술분야
PA11202 공연제작 Ⅰ Production Practicum Ⅰ 3 실기
PA11203 무대디자인Ⅰ Scenic Design Ⅰ 3 실기
PA11204 조명디자인Ⅰ Lighting Design Ⅰ 3 실기
PA11205 음향디자인Ⅰ Sound Design Ⅰ 3 실기
PA11206 극장사연구 History of Theatre 3 이론
PA11207 공연제작Ⅱ Production Practicum Ⅱ 3 실기
PA11208 무대디자인Ⅱ Scenic Design Ⅱ 3 실기
PA11209 조명디자인Ⅱ Lighting Design Ⅱ 3 실기
PA11210 음향디자인Ⅱ Sound Design Ⅱ 3 실기
PA11211 무대기술론 Stage Craft 3 이론
PA11212 무대감독론 Stage Management 3 이론
PA11213 무대미술론 Scenography 3 이론
PA11214 극장공간연구 Theatre Space 3 실기
PA11301 모델특론 Modeling Arts Practicum 3 이론 모델연기분야
PA11302 모델워킹분석 Analysis of Model Walking 3 실기
PA11303 모델과대중예술 Modeling and Popular Arts 3 이론
PA11304 패션트렌드분석 Analysis of Fashion Trend 3 이론
PA11305 모델이미지분석 Analysis of Model Image 3 이론
PA11306 모델사연구 The History of Modeling Arts 3 이론
PA11307 모델미학연구 Studies on the esthetics of Modeling 3 이론
PA11308 제작실습 Production Practicum 3 실기
PA11309 모델매니지먼트론 Theories of Model Management 3 이론
PA11310 패션산업론 Theory of Fashion Industry 3 이론
PA11311 모델산업연구 Studies on the Model Industry 3 이론
PA11312 모델지도법연구 Teaching Method of Modeling 3 실기
PA11313 모델마케팅세미나 Model Marketing Seminar 3 실기
PA11314 퍼포먼스테크닉연구 Studies on the Performance Technique 3 실기
PA11315 공연기획론 Theories of Production Design 3 이론
PA11401 메타버스아트워크 Artwork for Metaverse 3 통합 연출분야
PA11402 가상공연스토리텔링 Storytelling for Virtual Performance 3 통합
PA11403 인터랙티브공연실습 Interactive Performance Practice 3 실기
PA11404 예술스타트업 Start-up for Arts Industry 3 통합
PA11405 연기양식연구 Styles of Acting 3 이론
PA11406 메타버스인터랙션프로젝트 Metaverse Interaction Project 3 통합

교과목해설

06
교과목해설표
학수번호 과목명 상세내용
PA11001 실험영화연구Seminar in Experimental Film 현대영화에 나타난 비전통적인 형식으로서의 실험영화를 실험성, 권위성 등으로 분석, 연구하여 이들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실험영화의 예술성을 파악한다.
PA11002 고전영화이론연구Studies in Classical Film Theory 영화 이론의 기초를 확립한 초기 영화 이론가들의 연구와 그 방법론을 탐구하여, 현대 영화 이론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PA11003 현대영화이론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Film Theory 60년대 이후 영화이론이 중심이 되는 기호학, 정신분석학, 영화장르 연구 등 현대영화이론의 발전과정과 각 이론에 대해서 살펴본다.
PA11004
PA11005
PA11006
PA11007

공연예술프로덕션 I
공연예술프로덕션 II
공연예술프로덕션 III
공연예술프로덕션 IVPerfroming Arts Production I, II, III, IV
공연제작의 전 과정에 대하여 이론 및 실기를 통하여 고찰, 연구한다.
PA11008 연구방법론Methodology Research 연구주제의 선정에서 논문 작성에 이르기까지 연구 수행에 필요한 요건과 방법을 이해한다.
PA11010 XR실감기술Realistic media technology for Extended Reality XR 구현을 위한 실감 미디어 기술들을 프로젝트 기반으로 학습하여 미래융합형 공연예술 전문가에게 필요한 소양을 함양한다.
PA11011 융합 콘텐츠 프로젝트Convergence Content R&D 공연예술과 게임 기술을 융합하여 원격 환경에서의 실연자와 가상 배우 간 실시간 공연을 프로젝트 기반으로 학습한다.
PA11101 연출법연구Studies in Directing Method 연출의 기능과 특성을 연구하고 희곡선정에서 공연에 이르는 전 과정에 이르는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PA11102 서양연극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Western Theatre 고대 그리스 연극으로부터 근대극에 이르는 서양 연극의 사적 고찰을 통해 연극의 사회사적, 공연사적 특징을 연구한다.
PA11103 현대연극연구Studies in Modern Theatre 작품실습을 통해 얻어진 형상 원리와 창작이론 지식을 바탕으로 작품주제 설정, 신체움직임의 표출, 다양한 효과요소들과의 조화, 그리고 전체적인 연출방법에 이르기까지의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탐구해나가면서 종합예술활동으로서의 무용작품 공연에 관한 안무기법을 연구한다.
PA11104 연극이론Theory of Theatre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론으로부터 현대연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극문한 이론을 연구한다.
PA11105 교육연극Theatre for Education 초, 중, 고교의 교육현장에서 연극 교육을 할 수 있는 방법론과 이론을 연구한다.
PA11106 연출가연구Studies in Directors 연출의 기능이 나타난 이후 현재까지 활동했던 주요 연출가들의 미학적 특성과 연출적 기법을 연구한다.
PA11107 연기방법론 연구Studies in Acting Style and Method 연기 예술론의 방법론과 다양한 연기양식의 특성들을 연구한다.
PA11108 한국연극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Korean Theatre 한국 연극의 원류와 시대별 연극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대 한국 연극의 경향과 특성을 연구한다.
PA11109 작가연구Studies in Playwrighters 역사적인 대표적 희곡 작가의 작품 경향, 사회적 의미와 공연사적 의의를 연구한다.
PA11110 연극비평Theatre Criticism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발전해 온 극문학 이론 및 비평을 연구한다.
PA11111 스타니슬라프스키연구Studies in Stanislavski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연기론을 중심으로 현대 연기론의 변천과정을 연구한다.
PA11112 연극제작Play Production 연극제작의 전 과정을 이론과 실제를 통하여 연구한다.
PA11113 셰익스피어연구Studies in Shakespeare 셰익스피어 연극의 다양한 양식과 주제를 통해 셰익스피어 연극의 본질과 세계관을 연구한다.
PA11114 무대기술론Stage Technology 무대장치, 조명, 음향 등을 포함한 무대 기술 분야의 이론과 실질적인 적용 방법을 연구한다.
PA11201 공연사연구History of Production 공연작품의 공연사를 추적함으로서 희곡 작품들이 서로 다른 공연단체, 시대상황, 문화, 조건 속에서 각기 다른 특성들로 제작, 표현되었는지 연구한다.
PA11202
PA11207

공연제작 Ⅰ
공연제작 ⅡProduction Practicum Ⅰ・Ⅱ
공연제작의 일반적인 제작과정을 검토하고 제작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공연 제작시스템을 전반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PA11203
PA11208

무대디자인Ⅰ
무대디자인 ⅡScenic DesignⅠ・Ⅱ
극 공간 연출을 위한 디자인 과정으로 디자이너의 공간 개념이해, 대본분석에 의한 조형 표현과 연출, 도면작업, 미니어처 등 구상된 디자인의 실현을 위한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연구한다.
PA11204
PA11209

조명디자인Ⅰ
조명디자인ⅡLighting Design Ⅰ・Ⅱ
조명디자인 과정으로 조명디자인에 필요한 도면작성법등 디자인 과정을 익히고 극장설비 및 장비 등을 활용하여 조명디자인 과정을 연구한다.
PA11205
PA11210

음향디자인Ⅰ
음향디자인ⅡSound Design Ⅰ・Ⅱ
음향디자인 과정으로 음향디자인에 필요한 디자인 과정을 익히고, 장비를 활용하여 음향디자인과정을 연구한다.
PA11206 극장사연구History of Theatre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극장사의 변화 과정을 통해 비교, 검토 연구한다.
PA11211 무대기술론Stage Craft 무대장치, 조명, 음향 등을 포함한 무대 기술 분야의 이론과 실질적인 적용 방법을 연구한다.
PA11212 무대감독론Stage Management 무대와 공연진행을 위한 다양한 테크닉을 익히고 무대진행 효과적인 관리에 대한 노하우와 조명, 음향, 기계 감독들과의 네트워크를 연구한다.
PA11213 무대미술론Scenography 무대미술의 기본원리를 익히고 무대장치와 조명등을 무대공간의 창조라는 측면에서 시대적으로 대표적인 양식을 연구한다.
PA11214 극장공간연구Theatre Space 공연과 극장공간과의 관계를 객석, 백스테이지, 무대장치, 조명, 음향등의 각 분야 별로 극장공간을 연구한다.
PA11301 모델특론Characteristics on Contemporary Modeling Art 하이퍼 리얼리티 시대가 요구하는 모델의 역할과 성격을 가늠하고, 미학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측면에서 바라본 모델의 특성을 분석한다.
PA11302 모델워킹분석Analysis of Model Walking 모델의 워킹에 대하여 개괄적인 분석을 다루며, 패션의 컨셉(Concept)에 따른 표현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PA11303 모델과대중예술Modeling and Popular Arts 대중문화와 대중예술의 배경지식과 대중예술로서의 모델의 분야와 여타 분야와의 차이점과 특성, 모델의 위치, 역할 등을 분석한다.
PA11304 패션트렌드분석Analysis of Fashion Trend 모델과 패션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패션의 미적 개념, 조형성, 현대 패션의 트렌드와 흐름을 고찰하고 이론적 개념을 인지한다.
PA11305 모델이미지분석Analysis of Model Image 다양한 분야의 Runway, Photo, Magazine, Campaign, Commercial에 나타나는 Model Image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각각의 분야에 따라 Model Image가 전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전체 이미지 속의 Model Image의 상세한 영역에 대한 분석과 평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PA11306 모델사연구The History of Modeling Arts 정립되어 있지 않은 모델과 관련한 역사의 흐름을 살피는 것에서 한걸음 나아가 좀 더 구체적인 역사의 정립을 위한 탐구와, 객관적 사실 뿐 아니라 좌우로 치우치지 않는 안목과 발전적 미래를 위한 모델의 가치와 의식을 함양한다.
PA11307 모델미학연구Studies on the Esthetics of Modeling 모델로서의 아름다움이 출발하는 곳으로부터 다양한 예술적, 미적 표현 방법에 관하여 분석하고, 신체의 미학적 요소, 이미지 창조에 관한 요소, 워킹의 미적 요소 등 전반적인 모델의 미에 관하여 연구한다.
PA11308 제작실습Production Practicum 모델연기의 전반적 분야 중 하나를 선택, 제작에 참여하여 이론과 실기를 통한 제작 전반에 관하여 이해할수 있도록 한다.
PA11309 모델매니지먼트론Theories of Model Management Model Management, Model Branding, Model Marketing의 개념과 필요성, 전략적 관리 Process, Equity 구축, Positioning, Communication 방법, Leverage 효과 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Model Management에 관하여 연구한다.
PA11310 패션산업론Theory of Fashion Industry 패션산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패션 선진 국가들의 패션산업에 관한 탐구와 글로벌 패션산업의 현황을 파악하며, 해당 산업에 관한 확장된 안목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PA11311 모델산업연구Studies on the Model Industry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각국의 모델 산업의 특성과 현황을 분석하고, 미디어산업, 광고홍보업, 패션산업과의 연관성, 올바른 성장 모델에 관하여 연구한다.
PA11312 모델지도법연구Teaching Method of Modeling 모델을 양성, 지도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교과이며, 실기교육에 관한 기본지식 외에 모델에 접목하여 감정의 표현, 이미지의 표현, 워킹, 포즈 테크닉 등의 효과적 지도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PA11313 모델마케팅세미나Model Marketing Seminar 마케팅 전략 계획수립, 조사와 분석, STP와 마케팅 믹스 등 마케팅 분야의 기본 이론과 모델의 발전적 마케팅 방법에 관하여 탐구한다.
PA11314 퍼포먼스테크닉연구Studies on the Performance Technique 초실감 공연 제작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 요소의 기술을 연구, 실습하고 미래융합형 공연예술 전문가에 필요한 퍼포먼스 테크닉을 연구한다.
PA11315 공연기획론Theory of on the Performance Planning 공연의 기획, 연출, 제작 단계 중 기획 단계의 전반적인 이론적 탐구와 모델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패션쇼의 기획과정을 대입, 분석한다.
PA11401 메타버스아트워크Artwork for Metaverse 메타버스에서 아이디어와 디자인기법을 결합, 시각적 아트워크를 제작하고,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어 공연 경험을 창출한다.
PA11402 가상공연스토리텔링Storytelling for Virtual Performance 가상공연 산업에 관한 이해와 더불어 메타버스 공연 환경에 맞는 스토리텔링 작법을 학습하고, 프로젝트 기반의 실습을 수행한다.
PA11403 인터랙티브공연실습Interactive Performance Practice 관객의 반응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 시나리오 및 공연 요소를 개발하고 적응형 가상 공연 프로젝트 기반의 실습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A11404 예술스타트업Start-up for Arts Industry 미래형 예술은 테크놀로지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새롭게 이끌 중심적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학습자들이 스스로 개발한 콘텐츠 및 기술을 토대로 취창업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학습대상은 예술 취창업을 포함하여 산업 현장과의 콘텐츠 및 기술 피칭, 예술 정책의 현황 및 지원사업 솔루션, 글로벌 마켓으로의 진출 등을 망라한다.
PA11405 연기양식연구Styles of Acting 고대 그리스에서 현재까지의 연기 양식을 탐구하고 토론한다. 또한 알렉산더 테크닉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고 수업자료의 내용을 심도 있게 이해한다.
PA11406 메타버스인터랙션프로젝트Metaverse Interaction Project 메타버스 공연 플랫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가상공연의 상호작용 요소를 연구, 개발, 적용하는 과정을 다룬다. 또한 가상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학습한다.

학과내규

07
석사학위 청구 방법
  1. 가. 공연예술학과의 석사학위청구 방법은 논문 작성을 통한 학위청구 방법과, 실기작품발표(공연)을 통한 학위청구 방법으로 구분한다. 연구자는 연구 주제에 적합한 형식의 학위청구 방법을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선택할 수 있다.
  2. 나. 논문작성을 통한 학위청구는 일반 대학원의 작성규정과 지침에 의거하여 졸업 논문을 작성함으로서 석사학위를 청구하는 것에 해당하며, 실기작품발표(공연)을 통한 학위청구는 이하에 명시된 규정에 의거하여 실기작품을 발표하고 증빙자료를 제출함으로서 석사학위를 청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3. 다. 실기작품발표(공연)을 통해 석사학위를 청구하고자 하는 자는 대학원 재학중 소논문 또는 이에 준하는 학교공연 및 외부공연에 1회 이상 참여하여야 한다.
석사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공연)의 내용
  1. 학기 초 실기작품발표 계획서를 제출하고,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 심사의 통과 판정 후 학위청구 작품발표회를 실시하여야 한다.
  2. 작품발표회는 공인되고 공개된 장소에서 진행되는 외부 대관 공연에 한하며, 작품의 규모, 러닝타임, 공연장의 규격은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3. 작품발표회의 명칭은 ‘석사학위청구 작품발표회’로, 공연 프로그램명과 더불어 표기되어야 한다.
  4. 작품(공연)은 대학원 재학 중 구성한 작품으로, 작품의 연기, 조명디자인, 무대디자인 등 자신의 분야에서 주도적 역할 하에 구성되어야 한다.
  5. 학위청구 실기작품은 서론, 본론, 결론의 형식을 갖추어 A4용지 10매 이상의 실기작품 해설집을 작성하여야 하며, 작품해설, 기획의도, 연출의도, 무대디자인, 조명디자인 등 본인의 작품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작품론이 포함되어야 한다.
  6.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의 심사는 작품심사와 작품발표회심사, 작품해설집심사로 나누어 실시하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은 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한다.
  7.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 심사위원회 구성 후 준비기간, 대관 등의 이유로 2개 학기에 걸쳐 진행될 수 있다.
심사판정
  1.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 심사위원은 전임교원 포함 3인으로 구성되며, 심사위원은 지도교수와 학과장의 협의하에 결정한다.
  2.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의 평가는 100점 만점에 80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3.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 심사위원 전원의 합격판정이 있어야 통과한다.
  4. 프로포절 발표는 실기작품발표 계획서를 작성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통한 세미나 형식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통과하여야 한다.
  5. 1차 심사 시 실기작품 해설집과 작품제작의 50%이상이 완성되어야 한다.
  6. 2차 심사 시 작품제작의 90%가 완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과하여야 작품발표회를 진행할 수 있다.
  7. 3차 심사는 작품발표회와 해설집으로 심사한다.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 결과보고서
  1. 심사위원장은 심사를 종료한 후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 종합심사 결과보고서를 대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학위청구 실기작품발표 종합심사 결과보고서 제출 이후에는 실기작품(해설집 및 작품발표 자료)에 대한 수정 보완을 할 수 없다.
학위청구 실기작품 증빙자료 제출
※ 학위논문 제출자격
  1. 석사학위과정의 수료학점(선수과목 포함)을 모두 취득하였거나, 취득예정인 자
  2. 총 평점 평균 3.0 이상인 자
  3. 직전학기까지 외국어시험과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4. 2학기 이상 논문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은 자
※ 공통

학위논문 프로포절 심사 전 학술대회 논문 발표 또는 학술지 논문게재 후 발표증명서 또는 게재 증명서 제출

※ 논문 제출 공통자격기준

대학원 4학기 이상 등록하고 학위청구 논문 제출자격(대학원 학칙시행세칙 제43조)을 갖춘자